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인지질 효능 및 크릴오일

by 겨울엔 딸기 2019. 12. 6.
반응형

세포막, 적혈구, 뇌세포, 관절 조직의

주요 성분인 “인지질(phospholipid)”

 

 

특히, 사람의 뇌에서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구성성분 중 60%가 인지질인데,

이는 세포를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지방을 녹이는 성질도 지니고 있어

다이어터들도 많이 찾는 성분입니다.

 

 

다이어트에 대해 심각한 고민을 가지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지방분해주사를

생각해 보셨을 것 같은데,

우리가 흔히 지방분해주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고있는 PPC주사의 주성분이

바로 인지질입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이러한 성분을 어떻게 얻느냐 인데,

통증 및 부작용을 동반할 위험이 있는

지방분해주사가 아니라도

인지질(phospholipid) 함유 제품 섭취를 통해

인.지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대표적인 인.지질 함유 식품으로는

크릴오일이 있습니다.

 

 

크릴오일은 지구상 가장 청정한 해역이라

알려진 남극해가 주 서식지인

크릴 새우에서 추출한 오일로

인.지질을 비롯해, 아스타잔틴,

오메가3, 각종 아미노산 및 비타민,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어 뇌 건강,

혈액순환 개선, 성인병 예방 등에

 효과를 지닌 멀티 건강보조제입니다.

 

 

때문에, 크릴오일을 섭취하는 목적이

인.지질 흡수더라도

이를 비롯해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건데,

크릴오일을 섭취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양한 효과는 고사하고

정작 인.지질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인.지질을 얻기위해서는

인.지질 함량이 높은 제품을 골라야하지만,

시중 제품들을 비교해보면,

크릴오일**과 같이 인.지질 함량을

제대로 표기하지 않은 제품도 수두룩합니다.

 

https://blog.naver.com/djp1q84/221678634221

크릴오일 제품 품질 비교에 대한 글인데,

이 내용을 토대로 시중 제품들을

비교해보면 품질이 얼마나 엉망인지 알 수 있습니다.

 

크릴오일을 고르는 기준은 총 4가지인데,

첫번째가 인지질 함량, 두번째가 선상가공,

세번째가 NCS(No Chemical Solvent),

 그리고 마지막이 GRAS입니다.

 

 

첫번째, 인지질 58%(WCS)”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크릴오일의

섭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질 함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데,

현재 시중 제품 중에는

58%의 제품이 높습니다.

 

하지만, 58%라고 표기된 제품이라고 해서

다 좋은 제품은 아닙니다.

 

인.지질 함량의 경우 NMR시험법을 통해서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데,

현재 국내에는 NMR공인검사시행처가 없습니다.

다시 말해, 브랜드에서 실제 인.지질 함량이

50%인 제품을 58%로 높여 표기한다 한들

이를 확인할 방법도 규제할 방안도 없다는 겁니다.

 

실제로도, 이러한 허점을 이용해

인.지질 함량을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게끔

높여서 기재하는 브랜드가 상당히 많습니다.

 

때문에, 크릴오일의 인.지질 함량을 살펴볼 때는

“58%”라는 수치와 더불어 “WCS표식”

확인해야 합니다.

 

*WCS: NMR시험법을 사용해

인지질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했다는 의미*

 

 

두번째, 선상가공(분말화공정)”

원료인 크릴은 물 밖으로 나오자마자

고유의 성질이 변질되는 산패(썩음)현상이 시작되므로,

수확한 크릴을 그 자리에서 바로 분말화를

해줘야 합니다.

 

수확한 크릴을 선상에서 바로 분말화 시키는 것.

이것이 바로 선상가공인데,

이와 같이 선상 가공을 위한 설비가 갖춰진

선박은 그 값이 매우 비싸

현재 전세계적으로 총 5척에 불과합니다.

 

즉, 시중 대부분의 크릴오일은 수확한 크릴을

냉동시켜 육지로 옮긴 뒤

해동을 거쳐 제조하는 것인데,

사람이 먹는 크릴오일이

냉동 과정을 거치는 것과 달리

사료용은 산패 방지를 위해 방부제를 첨가합니다.

 

하지만, 2014년 호주에서는 사람이 먹는

크릴오일에서 에톡시퀸이 검출되어

굉장히 크게 논란이 일었는데,

이는 인체유독성방부제 성분입니다.

 

이처럼 사람이 먹는 크릴오일이라고 해서

꼭 안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크릴오일은 무조건 방부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선상가공”제품을 구입해야 합니다.

 

*선상에서 분말화 시킨 것이 아닌

단순 냉동 작업도 선상 가공이라며

홍보하는 비양심적인 업체가 많으니 선상 가공의

과정이 분말화공정”이 맞는지를

분명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

 

 

세번째, NCS(No Chemical Solvent)”

화학용매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의미의

“NCS(No Chemical Solvent)”

 

오일류 추출 시 사용되는 화학 용매는

추출 후 완벽한 제거가 불가능할 뿐더러

장기간 노출될 경우 대뇌기능장애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크릴오일은 무조건

 “NCS크릴오일100%”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네번째, 미국 FAD GRAS등재원료”

GRAS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안전성을 인정한 최상위등급으로,

때문에, GRAS에 등재된 크릴오일은

믿고 섭취해도 됩니다.

 

하지만, 대다수는 자사 크릴오일이 아닌

원물(크릴)의 등재 사실을 이용해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홍보를 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살펴볼 때는

★★(브랜드 명)크릴오일은

GRAS등재원료입니다.”라는

문구를 분명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위 조건에 부합하는 제품으로는

인.지질 함량 58%의 WCS제품인

더작 더 리얼 크릴오일 정도가 있습니다.

728x90